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경제용어 배우기 2편(feat. 깨알상식)

by 디아크⌲ 2022. 2. 18.
반응형

경제상식을 위한 경제용어

오늘의 돈 공부를 위한 경제용어입니다.

메타내셔널기업(Metanational Enterprise)

혹시 다국적 기업이라는 말을 아시나요? 다국적 기업보다 더 확장된 개념인데요. 다국적 기업은 기업의 핵심사업인 R&D, 핵심부품 생산, 기업 본부와 같은 것들을 본래 국적지에 남겨둡니다. 하지만 메타내셔널기업은 모든 핵심 기능까지 해외 지사에서 맡는 경우도 있습니다.

우리나라 기업을 예로 들자면 현대자동차 그룹과 삼성전자를 들 수 있겠네요. 현대자동차 그룹의 경우 미국의 캘리포니아와 독일 뤼셀스하임 등 해외에 디자인 센터를 세우기도 했습니다. 삼성전자 역시 현재 베트남에 대형 R&D센터를 건설 중이고 이미 미국의 텍사스에 R&D 조직을 두고 있죠.

공정시장가액비율

재산세 부과 기준인 과세표준을 정할 때 사용되는 공시 가격의 비율을 뜻합니다. 공시 가격과 공정시장가액비율을 곱하여 과세표준을 정하고, 이를 토대로 세금을 부과합니다. 즉 재산세는 공정시장가액비율과 비례한다고 보면 됩니다. 공정시장가액비율은 공시 가격이 100% 반영되는 경우 세부담이 과하게 늘어나기 때문에 이를 막기 위해서 도입되었습니다.

공정시장가액비율은 세금의 종류에 따라 차등 적용됩니다. 토지나 건축물은 70%, 주택은 60%가 적용되는데 종부세의 경우에는 공정시장가액비율과 공제금액을 초과한 금액을 곱해 과세표준이 정해집니다. 종부세에 적용되는 공정시장가액비율은 2018년 80%로 시작해서 매년 5%까지 올라 2022년에 100%에 도달하게 될 예정입니다.

팬더스트리

한류 열풍의 중심 방탄소년단(BTS), 세븐틴, 블랙핑크 등 팬덤을 기반으로 한 산업을 뜻합니다. 연예인들의 팬들이 가진 구매력이 향상됨에 따라 형성된 것인데요. 최근 들어 크게 확장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유명 아이돌과 팬덤을 서로 연결하는 '위버스'라는 플랫폼이 있습니다. 이런 위버스의 월간 이용자 수가 640만 명에 달할 정도로 큰 사업인데요. 최근에는 위버스와 연계한 커머스 채널까지 확장해 다양한 물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물론 아이돌뿐만 아니라 스포츠 스타와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텐버거(ten bagger)

원래는 야구에서 '10루타'를 의미하던 단어였지만 현재는 주식 시장에서 10배의 수익을 낸 종목을 뜻합니다. 전설이 된 투자자 피터 린치가 13년간 운용한 마젤란 펀드가 2700%의 수익률을 올리면서 처음 사용한 용어입니다. 대표적인 종목으로는 테슬라를 들 수 있겠네요. 개인적으로 저도 현재 테슬라에 투자 중인데 수익률이 꽤 좋습니다. 물론 국내에도 텐버거는 존재합니다. 코로나19 유행 이후 국내에 주식투자 붐이 일었을 때 HMM이나 효성 첨단소재 같은 종목이 1000% 넘게 오르기도 했죠.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