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풀이의 경제이야기]

갤럭시 GOS 이슈 및 해제방법

by 디아크⌲ 2022. 3. 8.
반응형

안녕하세요. 최근 갤럭시 S22가 출시되면서 그간 계속 논란이 있었던 GOS 이슈가 화제입니다. 대체 이게 어떤 것인지 그리고 어떻게 풀어버릴 수 있는지 오늘 이야기를 한 번 나눠보려고 합니다. 개인적으로 갤럭시 노트를 사용 중인데.. 이런 게 있다는 것 자체를 이번에 알게 되었네요.

GOS(Game Optimazer Service)란?

삼성이 만든 갤럭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에 기본으로 탑재되는 앱입니다. 뜻을 그대로 풀자면 게임에 최적화된 서비스라고 해석할 수 있겠네요. 실제로 우리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으로 게임을 하다 보면 프로세스를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 문제는 그렇게 되면 발열이나 배터리 사용량 증가로 인해 기기에 무리가 갈 수 있다는 점이죠. GOS는 이로 인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앱입니다.

사실 GOS는 지난 2016년 갤럭시 S7 출시 때부터 탑재되기 시작한 앱입니다. 무려 6년이라는 시간 동안 이슈가 되지 않았죠. 하지만 스마트폰으로 게임을 즐기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이미 공공연하게 나왔던 주제였죠. 실제로 네모난 꿈이라는 유튜버는 이전부터 꾸준히 재기해왔던 문제였죠.

갤럭시 S22, One UI 4.0, 4.1에서 GOS 해제하는 방법

일단 GOS가 왜 문제가 되는지에 앞서 가장 궁금해하실 것 같아서 GOS 해제하는 방법을 먼저 살펴보고 지나가겠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네모난 꿈 님의 유튜브 채널에 올라온 내용입니다. 다만 임시적인 방법이고 삼성에서는 결코 공식적으로 인정한 방법이 아님을 인지하셔야 합니다. 갤럭시 S22 GOS 뚫기 시작합니다.

  • 준비물
    • 애드가드
    • 아래의 게임관련 플러그인 모두 삭제
      • 게임 부스터 플러스
      • Game Clock
      • Gif Creator
      • Perf Z
      • 게임 우선 모드
      • 일일 한도
      • 조준 지원
1. 플레이스토어에서 애드가드 설치
2. 애드가드 내에서 "제품들로" 선택 후 파일 다운로드(adguard.apk)
3. 다운로드한 후 어플 설치 및 계정 생성
4. 계정 사용료를 1년에 1,500원 정도 받는데 일단 무료체험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5. 빠른 설정 - VPN 설정을 허용으로 선택
6. 왼쪽 메뉴 누르고 앱 관리 메뉴로 이동
7. 게임 런처 선택 및 방화벽에서 사용 정보 접근 허용 선택
8. 다시 애드가드로 돌아와서 게임 런처 상의 방화벽 전부 꺼주기
9. 같은 작업을 게임 부스터, 게임 옵티마이징 서비스에도 똑같이 적용
10. 애플리케이션 정보에서 게임 부스터 선택 후 시스템 앱 표시 활성화
11. 게임 부스터 - 저장공간 - 데이터 삭제
12. 마찬가지로 게임 옵티마이징에서 진행
13. 인터넷 연결을 끈 후 스마트폰 재부팅
14. 애드가드 앱이 활성화될 때까지 기다린 후 인터넷 연결
15. 끝.

이렇게 하시면 게임 런처가 서버와 통신을 할 수 없게 되어 게임을 게임으로 인식할 수 없게 됩니다. 사실 저렇게 말로 써놓으니 정말 어려워 보이지만 사실 영상대로 시작하시면 쉽게 따라 하실 수 있습니다.

GOS의 논란

사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그리고 노트북까지 모든 전자기기의 프로세스는 엄청난 발전을 했습니다. 그만큼 프로세스에서 발열량이 증가하는 것인 자연스러운 현상이죠. 개인적으로 제가 사용하는 맥북프로도 발열 이슈가 큰 녀석이라 조금만 써도 발열이 아주 심하게 됩니다. 과도하게 발열이 된 경우에는 자체 내장된 팬이 돌고 프로세스를 다운시켜 발열을 잡기도 하죠. 이건 아주 자연스러운 것입니다.

하지만 갤럭시의 GOS는 그 발열을 억제하기 위해 과도하게 특히 갤럭시 S22 시리즈부터는 더 심하게 GOS가 걸리기 시작했습니다. GOS로 인한 성능 저하 수준을 아이폰과 비교하면 2018년에 출시된 아이폰 XS와 비슷하다고 하니 참담하기 그지없네요. 실제로 Geekbech5로 테스트해본 결과 그 수치는 엄청났습니다.

싱글코어 51% 감소
멀티코어 38% 감소

물론 갤럭시 S22 뿐만 아니라 이전에 출시된 갤럭시 S20+ 모델 역시 같은 방법으로 테스트한 결과 역시 성능 저하가 발견됐습니다.

싱글코어 31% 감소
멀티코어 15% 감소

언뜻 보면 갤럭시 S20+가 감소폭이 더 작지만 성능 자체를 비교해보면 오히려 갤럭시 S20+의 성능이 비슷하거나 좀 더 높았다는 점입니다. 갤럭시 S20+는 2년 전에 출시된 스마트폰인데도 말이죠. 더 놀라운 것은 GOS가 해상도까지 낮춘다는 것이죠. 여기에 더욱 문제를 일으킨 것이 바로 삼성의 대응이었죠.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삼성전자 직원이 직접 나와 말했는데요.

안전에 있어서는 타협점이 없다.

그렇다면 본격적으로 이번 이슈가 문제인 점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GOS의 진짜 문제점

여기까지만 보면 단순히 성능만 낮춰진 것이 문제라고 볼 수 있나 싶으실 수도 있습니다. 이제 진짜 이게 문제인 점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1. 성능 사기
    • 새로운 스마트폰이 출시되면 벤치마크 툴을 이용해 객관적으로 성능을 판가름합니다. 갤럭시 S22의 벤치마크 결과 성능에 대해 많은 이들이 놀랐는데요. 문제는 이게 GOS가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한 것입니다. 어떻게 보면 벤치마크 꼼수라고 볼 수 있는데요. 실제로 고성능을 요하는 게임 등을 할 때는 GOS가 적용되지 않기 때문이죠.
  2. 과도한 클럭 제한
    • 앞서 말씀드렸듯이 프로세스에서 발열과 그로 인한 기기 스트레스 방지를 위해 성능을 제한하는데요. 이 수준이 너무 과하다 보니 2년 전에 출시한 갤럭시 S20+ 수준으로 떨어진다는 점입니다.
    • 여기서 약간 의아한 점은 프로세스가 과열돼서 기기에 위험이 가는 수준이 갔을 때 GOS가 작동하는 게 아니라 게임이 시작하자마자 작동된다는 점입니다. 사용자가 외부 장비를 활용하든 환경을 바꾸든 쿨링을 해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무시하고 성능을 낮춰버린다는 것이 문제죠.
    • 실제로 스마트폰용 쿨러를 이용해서 기기의 발열을 잡아가는 분들도 있거든요.
  3. 작동 ON/OFF 불가
    • 사실 이게 가장 큰 문제겠네요. GOS 자체를 끄거나 삭제할 수 없습니다. 앞서 끄는 방법을 알려드리긴 했지만 공식적인 방법은 절대 아니며 UI가 업데이트되면 이 방법 역시 또다시 막힐 가능성이 있습니다. 삭제는 말할 것도 없고요.

이번 GOS 이슈는 생각보다 꽤 커져가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기술의 삼성, 관리의 삼성인만큼 이 사태에 대해서도 공식적인 입장과 발 빠른 대처를 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번 사태를 극복하고 한 단계 더 성장한 삼성의 내일이 궁금하네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