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참고 견디며 꾸준히 읽다 보면 늘어가는 경제지식
안녕하세요. 오늘의 경제용어입니다. 다들 경제 공부하시고 금융 문맹 탈출합시다!
메타 노믹스(Metanomics)
메타 노믹스는 메타버스(Metaverse)와 이노 코믹스(Economics)의 합성어로 메타버스 내에서 이뤄지는 경제활동을 의미합니다. 어려운 단어 같지만 예전부터 우리에게 익숙한 개념인데요. 바로 싸이월드의 도토리를 들 수 있습니다. 최근에 제페토에서는 의상을 만들어 파는 사람들도 있을 정도이니 생각보다 우리 삶에 가까이 다가온 개념이죠. 다만 아직까지는 시장이 크게 성장하진 않은 초기단계입니다.
국내에서는 많은 엔터테인먼트 회사와 게임회사에서 적극적으로 참여 중인데요. 그 결과물로 NFT를 들 수 있겠네요. 실제로 엔씨소프트도 NFT 사업에 뛰어들었고 최근 지방은행들은 메타버스 내 은행 지점을 오픈하기도 했습니다. 앞으로도 메타 노믹스 시장은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으며 2025년에는 500억 달러 규모로 늘어날 수 있다고 하네요.
스위프트(SWIFT)
국제은행 간 통신협정이라는 뜻인데 Society for Worldwide Interbank Financail Telecommunicaion의 약자입니다. 요약하자면 해외송금을 간편하고 빠르게 하기 위해 만든 코드인데요. 여기서 퇴출된다면 긴축 통화인 달러를 활용한 거래가 사실상 불가능해집니다. 최근 발생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으로 인해 러시아가 스위프트에서 제외되었는데요. 실제로 러시아의 경우 환율이 엄청나게 폭락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개풀이의 경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쳇지피키? 채지피티? ChatGPT(챗지피티) 이야기 (0) | 2023.02.17 |
---|---|
갤럭시 GOS 이슈 및 해제방법 (0) | 2022.03.08 |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배경 (0) | 2022.03.02 |
경제용어 배우기 2편(feat. 깨알상식) (0) | 2022.02.22 |
경제용어 배우기 2편(feat. 깨알상식) (0) | 2022.02.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