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 세상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다그마 이론과 별제권, 스노브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그럼 다들 부자 되는 그날까지 힘내세요.
다그마 이론(DAGMAR0
목표에 의한 광고 관리로 Defining Advertising Results의 머릿글자를 떼서 만든 약어입니다. 의사전달에 광고 목표를 선정하고 이에 따라 광고 효과를 계량하는 공식인데요. 다그마 이론의 특이한 점은 제품을 판매하는 것이 아닌 의사 전달이 주된 목표라는 것입니다. 광고 집행 전에 광고 전달 목표를 수치화하고 광고를 통해 얼마나 그 목표치에 도달했는지 판단하는데요. 쉽게 설명드리자면 다그마 이론에서는 고객이 광고를 접할 때 받아들이는 단계가 있다고 가정합니다.
인식 → 이해 → 확신 → 행동
다그마 이론에서는 고객이 특정 브랜드에 대한 인지하고 있는 인지율을 10%에서 30%로 향상하는데 목표를 두고 광고 효과를 측정합니다. 핵심은 광고의 목표와 효과를 계량화한다는 것이죠. 다만 판매 부분이 기준에 포함되지 않다는 한계를 갖고 있기도 합니다.
별제권
파산한 자의 특정 자산에 대해 채권자보다 우선해서 채권을 받을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합니다. 즉 개인회생 시 채무자가 갚아야 할 금액과 구분되어 따로 변제받을 권리인데요. 쉽게 예를 들어 아파트나 빌라의 대출 같은 주택담보채권에 별제권이 인정됩니다.
A라는 5억짜리 아파트를 사는데 3억을 은행에서 대출받고 자기 돈 2억으로 보탰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만약 이 사람이 개인회생을 신청하면 은행과 같은 금융사는 별제권을 통해 해당 주택을 경매로 팔아버릴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개인회생절차를 꺼려하는 사람들이 많은데요. 작년 중순에는 금융소비자연대회의에서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입법 청원하기도 했습니다. 만약 이 법안이 통과된다면 개인회생 시에도 채권을 변재 하면서 주택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죠.
스노브 효과(snob effect)
특정 제품을 소비하는 사람이 많아질수록 그 제품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는 현상입니다. 스노브라는 말의 뜻 자체가 사실 좋은 뜻은 아닙니다. 다르게 말해서는 백로 효과 또는 속물 효과라도 고 합니다.
스노브(snob)의 뜻은 고상한 체하는 사람, 상류층을 동경하는 사람, 속물, 잘난 체하는 사람
다른 사람들이 접근하기 어려운 부분, 예를 들어 명품이나 예술품 같은 차별적인 제품이나 서비스 등을 통해 과시하려는 심리적 효과죠. 흔히 학생들이 입으면 그 브랜드는 곧 망한다라는 말처럼요.
'[개풀이의 경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갤럭시 GOS 이슈 및 해제방법 (0) | 2022.03.08 |
---|---|
경제용어 배우기 5편(feat. 깨알상식) (0) | 2022.03.03 |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배경 (0) | 2022.03.02 |
경제용어 배우기 2편(feat. 깨알상식) (0) | 2022.02.17 |
경제용어 배우기(feat. 깨알상식) (0) | 2022.01.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