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풀이의 건강이야기]

잠들지 못하는 저녁, 잠에서 깬 새벽. 불면증의 증상(feat. 수면제의 종류)

by 디아크⌲ 2022. 1. 10.
반응형

안녕하세요. 개풀이입니다. 밤새 잘 주무셨나요? 오늘은 불면증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사실 불면증은 현대인에게 꽤 흔한 질환이죠. 저도 약간 그런 게 있기도 하고요. 그럼 각설하고 증상부터 이야기해보겠습니다.

불면증에 대한 모든 것

불면증의 예방법과 증상, 그로 인한 합병증 같은 부분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불면증 극복하기(예방하기)

  1. 매일 일정한 시간에 잠자리에 드는 수면습관을 만들기
  2. 자기 전에는 과식을 하지 않기(하지만 가벼운 간식은 도움이 될 수 있어요.)
  3. 자는 경우가 아니면 침대에 눕지 않기
  4. 잠들기 전에 핸드폰, 태블릿 등 전자기기 금지
  5. 잠잘 수 있는 환경을 조성, 조명을 끄고 조용한 환경 만들기
  6. 낮잠 자지 않기
  7. 규칙적인 운동 하기
  8. 스트레스를 피하거나 해소하기
  9. 커피나 니코틴, 음주는 자제하
  10. 병원에서 치료받기

저는 개인적으로 낮잠을 줄이고 확실히 자기 전에 스마트폰을 멀리 했더니 쉽게 잠들었어요. 사실 잠 자기 전 스마트폰으로 웹서핑이 정말 재밌는데.. 참고 안 해보니 수면의 질이 더 높아졌어요! 이건 정말 추천드리고 싶어요.

불면증 증상

그렇다면 불면증에 걸린 사람은 어떤 증상이 있을까요? 사실 무작정 잠에 들지 못하는 것만이 불면증이지 않습니다. 불면증의 증상에 대해 자세히 이야기해볼게요.

  1. 쉽게 잠들지 못하는 현상
  2. 잠에 들더라도 쉽게 깨는 현상
  3. 쉽게 잠들지 못하고 쉽게 깨는 현상(복합)
  4. 새벽에 눈이 떠지는 현상(새벽
  5. 잠을 오래 자더라도 늘 피곤한 현상
  6. 과민성 또는 우울한 기분
  7. 일상생활이나 업무에 집중력이 부족하거나 기억력 문제

사실 증상 자체가 그렇게 무서워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냥 잠을 잘 못 잤네라고 넘어갈만한 일들이 많으니까요. 하지만 이런 수면장애를 계속해서 방치할 경우 다양한 합병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불면증으로 인한 질병 및 문제

불면증 그 자체가 위험한 병은 아니지만 자칫하면 여러 가지 질병을 유발할 수 있는데요. 대표적인 것들을 말씀드리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 체중 증가 및 비만 유발
  • 운전 또는 기타 작업 시 사고 유발 가능성 증가
  • 당뇨병과 같은 질병

모든 질환은 만성이 될 경우에는 많은 위험성을 야기할 수 있어요. 사실 이게 정말 위험한 부분이라 주의를 기울여야 하죠.

불면증 원인

사실 불면증을 유발하는 원인들은 정말 많은데요. 그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 정도만 언급해보도록 할게요.

  • 스트레스 : 사실 스트레스는 정말 많은 질병을 유발하는 원인이네요. 
  • 암과 같은 만성질환
  • 우울증, 불안장애 등의 정신질환
  • 생리, 폐경 등 호르몬 불균형
  • 카페인, 니코틴, 알코올 등 : 사실 술은 쉽게 잠들 수 있게 도와줄 수는 있어요. 하지만 수면의 질을 저하시키는 주된 원인이 되곤 해요.

불면증의 치료와 수면제

불면증도 병원에서 치료가 가능합니다. 특히 암과 같은 만성질환이나 기타 약물의 부작용으로 인해 잠에 들지 못하는 경우에는 수면제나 약을 바꾸는 등의 방법을 통해 치료하기도 하는데요. 사실 불면증으로 병원에 가는 경우는 많이 보지 못한 것 같아요. 그래서 대부분 처방 없이 구입할 수 있는 수면보조제를 통해 자가치료를 시도하기도 하죠. 다만 수면보조제를 오래 먹는 경우에는 불면증의 치료 시기를 놓치게 되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하시는 게 좋아요.

불면증의 진단

사실 불면증을 정확히 진단하는 방법은 없어요. 다만 여러 가지 검사나 행위를 통해 불면증 여부를 판단하기도 하는데요. 다음과 같아요

  • 혈액검사 : 의학적으로 신체를 살펴보기 위해 진행하는데 철분 부족같이 불면증을 유발하는 원인이 있는지 살펴보는 과정이에요.
  • 수면 일지 : 환자가 스스로 1~2주간 자신의 수면 패턴이나 습관 같은걸 기록하면 의사가 이를 토대로 불면증을 진단하는 방법인데, 사실 이 방법을 활용하면 원인을 찾아내는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병원에 가기 망설여지신다면 자가치료 개념으로 한 번 해보셔도 좋을 것 같아요.
  • 수면검사(수면다원검사) : 이 방법은 정말 비싸지만 정확한 원인을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이에요. 뇌파와 수면 중 호흡 등의 검사를 하는데 얼마 전에 살림남에서 나왔던 적이 있죠. 예전에는 80~90만 원가량이 들었지만 현재는 15만 원가량으로도 받으실 수 있다고 하네요.

저는 개인적으로 수면 일지를 한 번 작성해보시는 걸 추천해드리고 싶어요. 저도 사실 불면증으로 많이 고생한 편이에요. 저는 쉽게 잠들지 못하고 혹시나 밤에 소음 때문에 깨면 다시 잠들지 못했거든요. 다만 쌍둥이 아빠가 되고 아이들을 재우고 아이들이 옆에 있는 모습을 보니 정서적으로 안정되고 스마트폰까지 옆에 없으니 전보다는 쉽게 잠든 것 같아요. 아직도 깨면 잘 자지 못하지만요.^^;;

불면증  집에서 자가치료

만성 불면증이 아니라면 어느 정도는 치료가 가능하다고 봐요. 제가 알려드린 방법은 다음과 같아요.

1. 다양한 불면증의 원인을 파악한다.
2. 2주간 잠들기 전 행동을 노트에 기록합니다.(이때 가급적이면 태블릿이나 스마트폰은 이용하지 않는 게 좋아요)
3. 작성된 일기를 통해 자신의 원인을 파악해보고 고쳐봅니다.
4. (선택사항) 스마트워치나 어플을 이용해서 자신의 잠자는 습관을 체크해보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5. (선택사항) 추가로 수면보조제를 드시는 것도 좋지만 3주 이상 드시는 건 좋지 않다고 하네요.

수면 보조제란?

콧물감기약은 드시면 졸릴 수 있으니 낮에는 드시지 않는 게 좋아요.

라는 말은 감기에 걸리셨을 때 많이 들어보셨을 거예요. 수면보조제가 바로 항히스타민 계열의 감기약으로 사실 수면보조제는 건강기능식품으로 분류돼요. 그래서 약국에서 처방전 없이 구입할 수 있는 건데 스스로 원인을 아는 경우라면 그 원인을 치료하거나 없애면서 드시는 것이 좋아요. 그런데 사실 저는 먹어봐도 크게 효과를 못 느끼겠더라고요.

수면유도제란?

말 그대로 수면을 유도해주는 약이에요. 주로 졸피뎀 성분이 들어있고 의사의 처방이 있어야만 먹을 수 있는 약이죠. 다만 이 약은 수면만 유도해줄 뿐 렘수면으로는 유도해주지 않아서 여러 가지 부작용이 생길 수 있는데 대략 다음과 같아요.

  • 너무 많은 잠
  • 몸이 나른한 느낌
  • 이상행동 및 정신장애

수면제란?

정말 잠들게 해주는 약인데요. 벤조다이야제핀 성분의 향정신상 약이에요. 사실 멜라토닌이라는 호르몬이 우리 몸에 많이 나와야 편안하게 잠들 수 있는데 스트레스나 정신질환은 이런 멜라토닌이 우리 몸에 나오는 걸 방해하거든요. 수면제를 먹으면 이런 호르몬이 잘 나오게 되고 편안하게 잠자리에 들 수 있게 도와줘요. 하지만 이런 수면제를 남용하거나 과용하게 되면 약물 중독이나 치매, 기억력 저하 등의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해요.

사실 불면증의 정말 큰 원인이 스마트폰이나 스트레스이지 않을까 싶어요. 우리 주변에는 정말 정신병원에 가야 할 사람들이 많은데 그 사람들이 안 간 덕분에 우리에게 많은 스트레스를 줘서 우리가 대신 가고 있으니까요. 물론 그 외에도 일이나 다양한 사건, 사고 때문에 많은 스트레스를 받죠. 건강한 수면을 통해 여러분들의 잠자리가 행복해졌으면 해요! 그럼 오늘 밤도 잘 주무시고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