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개풀이 입니다. 지난번에 지방간에 대해서 알아봤는데 생각해보니까 딱 지방간이라고 스스로 처방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인지라 지방간의 증상에 대해 오늘은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증상과 관련해서 다른 필요한 내용들도 한 번 다뤄보겠습니다. 지방간에 대한 건 지난번에도 포스팅했으니 한 번 보고오셔도 좋습니다.
지방간에 대한 정보 요약
- 간에 지방이 축적되어 간을 손상시키고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 비만, 고지방식단, 과량의 음주, 당뇨병이 위험요인입니다.
- 대부분의 지방간은 식단과 운동으로 좋아질 수 있습니다.
지방간의 증상
- 복부 오른쪽 상단에 통증 또는 충만감
- 메스꺼움과 식욕 부진 또는 체중 감소
- 황달 : 피부와 눈 흰자위가 노래집니다.
- 부종 : 복부와 다리다 부어오릅니다.
- 극심한 피로감이나 정신적 혼란(신경쇠약 등)
지방간의 원인
- 비만 또는 과체중
- 잦은 음주 : 알콜성 지방간염을 유발합니다.
- 제2형 당뇨병 또는 인슐린 저항성이 있는 경우
- 대사증후군을 앓는 경우
- 스테로이드와 같은 특정 약물의 부작용
- 과도한 칼로리 섭취
지방간 예방
- 체중 감량 : 일반적인 체중감량으로 일주일에 0.5~1kg 이하의 감량을 의미합니다.
- 식단 및 약물 조절
- 금주
- 당뇨병 관리
- 균형잡힌 건강한 식단 섭취
- 신체활동 늘리기(운동)
- 트리글리세리드 수치를 낮출 수 있는 음식 먹기
- 간 관리를 위해 정기적으로 검진받기
간은 복부의 우측 상단에 위치한 인체에서 가장 큰 내장기관입니다. 독소를 제거하고 영양소를 흡수하는데 소화시스템의 혈액이 다른 곳으로 이동하기 전 가장 먼저 간을 통과합니다. 사실 지방간은 10명 중 1명이 걸리는 생각보다 흔한 질병이에요. 이전에 포스팅했던 것처럼 약간의 지방이 있는 것은 정상이지만 지방이 간 무게의 10% 이상을 넘게 되면 지방간이고 정말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합니다.
지방간 질환의 위험인자
특히 지방간에 쉽게 걸릴 수 있는 위험인자를 갖고 있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지방간 환자는 중년의 과체중입니다. 지방간 질환과 관련된 위험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과체중 : 체질량 지수가 25~30
- 비만 : 체질량 지수가 30 이상
- 당뇨병 환자
- 높은 중성지방(트리글리세리드) 수치(최근 트리글리세리드는 트라이글리세라이드로 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
여기서 중성지방이라는건 고지혈증 환자들에게서 많이 발견되는데 심혈관질환의 주범이기도 합니다.
건강이 악화되는 순간
그렇게 많은 포스팅을 한 것은 아니지만 여러 가지 질병을 보다 보면 생각보다 우리 몸의 균형은 잘 잡혀있고 이런 균형은 쉽게 깨지지 않습니다. 다만 한 번 무너지기 시작하며 차례로 계속 무너지더라고요. 이건 우리 장기도 그렇고 근육도 그렇고 다 그렇습니다. 그러니 처음부터 건강한 식단과 운동으로 우리 몸의 건강을 챙기는 게 너무 중요한 것 같네요. 그럼 다들 오늘 하루도 건강하게 보내시고 안녕히 계세요.
'[개풀이의 건강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다공증의 증상과 걸리기 쉬운 사람(feat. 골밀도 수치표) (0) | 2022.01.03 |
---|---|
뒷목이 뻐근하고 땡길 때, 고혈압을 의심해야할까요?(feat. 증상, 원인) (0) | 2021.12.29 |
지방간 없애는 방법과 지방간에 좋은 음식과 아닌 음식(feat. 지방간의 위험성) (0) | 2021.12.27 |
기흉에 좋은 음식(Feat. 폐건강에 좋은 음식) (0) | 2021.12.25 |
소아뇌전증 전조증상과 원인 치료의 중요성 (0) | 2021.12.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