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개풀이입니다. 알아두면 도움이 되는 경제상식에 대해 여러분과 이야기해보고자 이 카테고리를 마련했습니다.
경제상식을 위한 경제용어
헥토콘, 데카콘, 유니콘
각각 1000억달러, 100억 달러, 10억 달러 이상의 기업가치를 가진 스타트업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아마 유니콘 기업이라는 말은 많이 들어보셨을거에요. 10억 달러 이상의 가치를 가진 스타트업을 부르는 말인데 최근 스타트업 시장이 크게 성장하면서 이를 뛰어넘는 기업들이 생겨나며 생긴 신조어인데요. 100억 달러 이상 가치를 가진 기업은 10배라는 뜻의 데카(deca)를 붙여 데카콘, 1000억 달러 이상의 가치를 가진 기업은 100배라는 뜻의 헥토(hecto)를 붙여서 헥토콘이라 부릅니다.
아쉽게도 우리나라에는 아직 헥토콘에 해당되는 기업은 없지만 데카콘기업은 있는데, 여러분들이 잘 알고 계시는 두나무와 야놀자예요. 헥토콘에 해당하는 기업은 바로 스페이스 X인데요. 작년 11월쯤에 기업 가치가 120조 원을 인정받아 헥토콘 기업이 되었습니다.
FAST(Free Ad-supported streaming TV) 플랫폼
광고를 보는 대신 무료로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플랫폼입니다. 최근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시장이 급성장하며 많은 사람들이 월 구독료에 대한 부담감을 느끼며 등장한 서비스에요. 저도 지금 넷플릭스, 디즈니 플러스, 티빙까지 3개나 구독 서비스를 이용하다 보니 친구들과 모임을 만들어 그나마 부담을 덜고 있는데 실제로 이런 부담을 느끼는 사람들이 많은 점에서 FAST 플랫폼이 새롭게 부상하고 있어요.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활동하고 있지 않지만 미국에는 신클레어, 스티어, 주모 등이 서로 경쟁하며 성장하고 있습니다.
캐즘(Chasm)
본래 지질학 용어인데 경제학에서도 사용하게 된 단어인데요, 새로 개발된 서비스나 제품이 대중에게 받아들여지기 전까지 겪는 침체기를 뜻합니다. 이걸 이겨내지 못하면 사라지게 되는거죠. 지질학에서는 지층에 균열이 생겨 단절되는 것을 뜻하는데 실리콘밸리의 컨설턴트 제프리 무어 박사가 처음 사용해서 경제용어가 된 단어입니다. 캐즘 현상은 주로 IT와 같은 첨단 산업에서 많이 발생하는데요. 사실 우리가 사용하는 스마트폰도 캐즘 현상이 있었습니다.
바벨 전략(Barvell Strategy)
마치 바벨(역기)처럼 양극단에 있는 자산인 안전자산과 고위험, 고수익 자산만으로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전략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선진국과 신흥국의 주식을 반씩 담거나 성장주와 가치주에 함께 투자하는 방식인데요. 안전성과 높은 수익성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요. 대체로 금융 시장 내에 불확실성이 클 때 주로 쓰이는 전략인데 생각보다 많은 투자자들이 활용하고 있습니다.
주링허우
1990년대에 태어난 중국사람들을 가리키는 말인데 우리나라로 따지면 MZ세대와 비슷하겠네요. 다만 중국은 1가구 1자녀 정책으로 인해 대부분 외동이라는 특징이 하나 더있어요. 이 때문에 '제2기 소황제 세대'라고도 불리죠. 이들은 디지털과 온라인에 익숙하고 시진핑의 강화된 애국주의 교육환경에서 자랐는데 당시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아주 높았기에 경제적으로도 풍족한 사람이 많아요. 주링허우의 특징은 유행에 민감하고 해외 트렌드에도 거부감이 없다는 점인데요. 1990년대 이전에 태어난 사람들보다 개인주의적인 성향이 강하고 자본주의에도 익숙한 게 특징입니다.
슬럼프 플레이션(Slumpflation)
인플레이션과 높은 실업률이 공존하는 상황을 말하는 단어인데요. 사실 지금까지 가장 심각한 경기침체를 표현하는 단어는 스태크플레이션이었습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의 끝은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이 동시에 이뤄지는 상황인데 슬럼프 플레이션은 여기에 실업률까지 높아졌기 때문이죠. 최근 코로나로 인해 원자재 부족 현상에 원가상승 등으로 물가는 계속 오르는데 반해 경제 성장은 둔화되고 있어 스태크플레이션이나 슬럼프 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에요. 특히 중국은 스태크플레이션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하네요. 세계 GDP 비중 중에서 중국의 비율을 무시할 수 없는 상황이기에 많은 우려가 있는 게 사실입니다.
'[개풀이의 경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갤럭시 GOS 이슈 및 해제방법 (0) | 2022.03.08 |
---|---|
경제용어 배우기 5편(feat. 깨알상식) (0) | 2022.03.03 |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배경 (0) | 2022.03.02 |
경제용어 배우기 2편(feat. 깨알상식) (0) | 2022.02.22 |
경제용어 배우기 2편(feat. 깨알상식) (0) | 2022.02.17 |
댓글